POS 용어정리
- 네프랩
- 2023년 6월 5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4년 11월 14일

안녕하세요. 네프랩입니다.
언젠가 POS용어정리를 한 번 쯤 해야 한다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홈페이지도 리뉴얼이 8할 이상 완성되었고, 데이터베이스도 테스트 해 봐야 하는 시점에서 네프랩만의 블로그를 통해 용어정리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익히 아시는 분들도 많으시겠지만, 모르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아 작년 말에 모 기업에 강의 제의를 받고 강의 시 사용했던 용어들을 정리하겠습니다.
POS나 신용카드단말기(유선단말기, 무선단말기 모두 통칭)를 사업 상 필요하셔서 구매 또는 렌탈(임대)로 많이 사용하시고 계십니다.
POS, 신용카드단말기 등 카드결제단말기를 거의 대다수 분들이 "포스기(POS기)"로 말씀하시죠. POS기 맞습니다. 그럼 POS기를 알아보려하면 VAN이라는 단어도 나오고, KIOSK도 나오고, CAT단말기라는 말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럼 POS라는 말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주륵 나오는데요. 좀 더 추가설명으로 정리하겠습니다.
POS라는 말은 꽤 오래 전부터 사용하던 전산용어입니다. ERP(전사적자원관리)라는 말을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ERP는 규모 있는 회사(중소기업, 대기업)에서 생산관리, 재고관리, 판매관리, 회계관리 등등 회사업무를 각 담당자별로 관리하고 집계하는 소프트웨어솔루션, 즉 전사적(회사전체업무를) 자원관리(모든 파트의 유,무형 재고, 자산, 지출, 수입 등)를 하는 주로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졌고, 이를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이나 웹에서 처리 가능하도록 개발된 것입니다.
POS라는 말만 설명하면 되는데, 왜 ERP까지... ^^;
POS라는 말이 ERP에서 나온 전산용어이기 때문입니다.
POS = 판매시점관리(Point of Sales), 즉 회사에서는 영업파트에서 판매는 곳 매출, 이를 누락하지 않고 회사 전산망에 등록해야 되겠죠?
이처럼 식당이나, 여러 매장에서 상품을 판매했을 때 등록하고, 매출을 관리해야 되기에 POS라는 소규모 매출관리 프로그램이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이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탑재되어 판매되기 시작하면서 "POS기"로 통칭하게 된 것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마트 등 대형마트가 생기기 전 예전에는 큰 수퍼마켓, 백화점 식품매장에서 결제할 때 IBM이라고 마크가 떠억 붙어있는 POS기기를 많이 보셨을 것입니다. IBM도 있었고, 후지쯔, HP 등등 다양했고, 가격 또한 최소 천만원 이상이었습니다. 컴퓨터도 비싼 시기였고, 상품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구축하는 서버도 있어야 했으므로 엄청나게 고가였죠.
PC(퍼스널 컴퓨터 즉, 개인용 컴퓨터)가 끊임없이 진보하여 가격이 낮아지면서 POS기기 발전하면서 가격이 낮아질 수 있었습니다.
그럼, 노트북이나 데스크탑도 POS라고 할 수 있나요? 맞습니다. POS업무를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만 설치되면 POS입니다.
컴퓨터나, POS기기가 아닌 카드단말기(유선, 무선, 블루투스 등)는 POS인가요?
판매관리를 하기 때문에 POS가 맞습니다만, 컴퓨터나 POS기기와 달리 소형기기이므로 매출관리가 수작업으로 조회, 관리해야 합니다. VAN사 응용프로그램이나 VAN사 앱에서 보다 손쉽게 조회,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최종 정리...
POS기 = 판매매출관리 프로그램이 설치 가능한 터치 화면의 컴퓨터나 노트북, 데스크탑
카드기, 신용카드단말기, 카드단말기 등 = POS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는 유/무선 소형기기
꼭 아실 필요는 없지만, 그래도 알아두시면... 아~주 조금이라도 뭔가 도움이 되시지 않을까요?